(보도자료) 국립소방연구원, 올해 상반기 화재감정 늘어

작성일
2020-07-30
조회수
7762
작성자
고다형
□ 국립소방연구원(원장 이창섭)이 2019년 5월 개원하면서 2020년 상반기 화재감정 분석건수가 중앙소방학교 소방과학연구실 시절이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1% 증가한 165건이라고 밝혔다.
〇 화재감정이란 화재와 관련된 물건의 구조·성분 등을 과학적인 실험 등을 통해 분석하여 화재원인을 도출할 만한 근거자료를 얻는 것을 말한다.
〇 기본적으로 화재조사는 관할 소방서에서 실시하지만 인력이나 기술력으로 정밀분석이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기관인 국립소방연구원(이하 ‘연구원’)에 화재 감정을 의뢰하고 있다.

□ 연구원에는 X-ray 투시기,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주사형 현미경 등 정밀분석장비와 박사급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일선 소방관서 보다는 분석역량이 높다.
〇 올해 상반기 감정업무 수행결과, 화재원인규명률은 지난해 보다 1% 상향된 30.6%였고, 15일 이내 감정을 처리한 비율도 지난해 보다 1% 상향된 59%로 나타났다.
〇 감정 물품은 위험물질(45건) > 전기배선(37건) > 생활용품(29건) > 산업장비(15건) > 계절용 기기(10건) 순이며, 주로 불에 소손되어 화재현장에서 발견된 물품이었다.

□ 주목할 만한 건으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제품(16건)과 차량(4건)화재가 있다.
〇 리튬이온배터리 화재의 경우 배터리의 열폭주*가 원인으로 추정되었으며, 주차 중인 차량의 화재는 차량의 ABS모듈 과전류가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앞으로 연구원에서는 새로 개발되는 제품에서 화재요인이 발견될 경우 추가연구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 리튬이온배터리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급격하게 화재로 발전되는 현상

□ 또한 올해 3월 경북 김천에서 일어난 전기요 화재에서 온도조절기 내부 스위치 결함을 규명했고, 올해 4월 전남 화순의 전기요 화재 건에 대해 열화상분석과 내부 회로분석 등을 통해 전류 제어 부품의 결함을 밝혀내 두 건 모두 소비자가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 이창섭 원장은 화재감정 업무는 1차적인 원인규명은 물론이고 화재예방에 필요한 정보와 제품제조사들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말하고, 앞으로 소방관서와 관계 전문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 미리보기가 안될 시 팝업차단 해제 후 이용 바랍니다.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
  • 평가 의견

    ( 현재 페이지에 대한 평가 의견을 올려주세요.
    의견에 대한 답변은 올리지 않으며, 질의 등은 국민신문고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