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19년 119구조대 하루평균 273명 구조

작성일
2020-01-08
조회수
7958
작성자
최주영
<p>□ 소방청(청장 정문호)은 작년 한 해 동안 구조요청에 따라 총 88만1,990건 출동해서 70만9,251건을 처리했으며 9만9,555명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br /> ○ 이것은 하루 평균 2,416건을 출동해서 1,943건을 처리했으며 273명을 구조한 것이다.</p> <p><br /></p> <p>□ 2018년에 비해 구조출동건수는 5.3%(44,362건), 구조건수는  6.9%(45,725건) 증가됐고 구조인원은 4.6%(4,780명)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안전 분야의 구조건수가 13.9%(48,915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br />  ○ 일반구조분야 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유해화학물질에 따른 구조건수가 30.6%(142건)증가했으며 그 다음은 극단적 선택추정에 따른 구조 21.0%(3,296), 수난사고 12.9%(995건), 위치추적 12.5%(1,485건) 순으로 증가했다. <br />  ○ 생활안전 분야 구조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자연재난이 74.0%(8,840건)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전기사고 34.2%(557건), 벌집제거 16.0%(23,024건), 동물포획 11.4%(8,770건), 안전조치 10.0%(6,319건) 순으로 증가했다. <br />   - 특히, 작년 9월에는 자연재난으로 인한 구조건수가 지난해의 52배, 안전조치는 2.2배 증가하였는데 태풍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br />   - 아울러, 벌집제거는 167,312건으로 7월에서 9월 사이에 전체건의 83.6%(139,824건)가 발생했다. <br /></p> <p><br /></p> <p>□ 장소별로는 공동주택 25.7%(181,965건), 도로?철도 18.3%(129,855건), 단독주택 14.3%(101,497건)으로 주거장소에서의 안전사고와 도로상 교통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p> <p><br /></p> <p>□ 요일별로는 토요일 구조건수가 15.5%(110,191건)으로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일(평균 101,322건)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상대적으로 목요일이 13.6%(96,769건)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br /></p> <p><br /></p> <p>□ 전국 시?도 지역별 구조건수를 살펴보면 경기가 173,77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서울 126,969건, 경북 53,039건, 경남 45,930건, 전북 35,793건순으로 많았다. 전국 구조건수 중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지역*의 구조건수 비율이 45.7%(323,968건)로 인구비율과 비슷하게 나타났다.<br />     *경기 173,775건, 서울 126,969건, 인천 23,224 <br />  ○ 구조건수 증가율은 경북지역이 전년대비 30%증가했으며 다음으로는 울산지역이 16.3%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태풍의 영향으로 구조와 생활안전신고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았다. <br /></p>

□ 소방청(청장 정문호)은 작년 한 해 동안 구조요청에 따라 총 88만1,990건 출동해서 70만9,251건을 처리했으며 9만9,555명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 이것은 하루 평균 2,416건을 출동해서 1,943건을 처리했으며 273명을 구조한 것이다.


□ 2018년에 비해 구조출동건수는 5.3%(44,362건), 구조건수는  6.9%(45,725건) 증가됐고 구조인원은 4.6%(4,780명)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안전 분야의 구조건수가 13.9%(48,915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 일반구조분야 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유해화학물질에 따른 구조건수가 30.6%(142건)증가했으며 그 다음은 극단적 선택추정에 따른 구조 21.0%(3,296), 수난사고 12.9%(995건), 위치추적 12.5%(1,485건) 순으로 증가했다.
 ○ 생활안전 분야 구조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자연재난이 74.0%(8,840건)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전기사고 34.2%(557건), 벌집제거 16.0%(23,024건), 동물포획 11.4%(8,770건), 안전조치 10.0%(6,319건) 순으로 증가했다.
  - 특히, 작년 9월에는 자연재난으로 인한 구조건수가 지난해의 52배, 안전조치는 2.2배 증가하였는데 태풍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 아울러, 벌집제거는 167,312건으로 7월에서 9월 사이에 전체건의 83.6%(139,824건)가 발생했다.


□ 장소별로는 공동주택 25.7%(181,965건), 도로?철도 18.3%(129,855건), 단독주택 14.3%(101,497건)으로 주거장소에서의 안전사고와 도로상 교통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요일별로는 토요일 구조건수가 15.5%(110,191건)으로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일(평균 101,322건)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상대적으로 목요일이 13.6%(96,769건)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 전국 시?도 지역별 구조건수를 살펴보면 경기가 173,77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서울 126,969건, 경북 53,039건, 경남 45,930건, 전북 35,793건순으로 많았다. 전국 구조건수 중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지역*의 구조건수 비율이 45.7%(323,968건)로 인구비율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경기 173,775건, 서울 126,969건, 인천 23,224
 ○ 구조건수 증가율은 경북지역이 전년대비 30%증가했으며 다음으로는 울산지역이 16.3%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태풍의 영향으로 구조와 생활안전신고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았다.

첨부파일

※ 미리보기가 안될 시 팝업차단 해제 후 이용 바랍니다.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
  • 평가 의견

    ( 현재 페이지에 대한 평가 의견을 올려주세요.
    의견에 대한 답변은 올리지 않으며, 질의 등은 국민신문고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