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주택화재 현황(아파트 및 기숙사 제외)

전체화재에서 연평균(′12~′21년) 주택화재 발생율 약 18%인 반면, 화재 사망자 비율은 47%(절반)가 주택에서 발생

소방시설법 제8조 시행(′12.2월) 이후, 연평균 주택화재 발생건수는 0.1% 증가, 주택화재 사망자는 9.4% 감소함 ※ 전국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율[2020년 인구주택 총조사] ⇒ 35.4%(소화기+화재경보기)

전체화재 대비 주택화재 및 사망자 발생 현황(10년간)
전체화재(화재발생 건수 및 사망자 수), 주택화재(화재발생 건수 및 사망자 수), 주택화재 및 사망자 발생율(화재 퍼센트 및 사망자 수)에 따른 2012년~2021년 까지 합계 및 연평균 표
구분 전체화재 주택화재 주택화재 및 사망자 발생율 비고
화재발생 (건) 사망자 (명) 화재발생 (건) 사망자 (명) 화재 (%) 사망자 (명)
'21년36,2662786,66315018.3753.96
'20년38,6593657,16314518.5339.73
'19년40,1032857,55912218.8542.81
'18년42,3383698,17014319.3038.75
'17년44,1783458,17914918.5143.19
'16년43.4133067,99515118.4249.35
'15년'44,4352538,03713718.0954.15
'14년42,1353257,53914717.8945.23
'13년40,9323077,53115018.4048.86
'12년43,2492677,63616017.6659.93
연평균41,5703107,64714518.446.9
합계415,7083,10076,4721,454
해외(일본) 사례 비교
  • 한국

    ‘12년(제도마련) 화재사망자 160명→ ʼ21년 145명으로 10년간 9.4%(15명) 감소
    `12년 기준마련 → ʼ21년 35.4% 달성(10년 소요, 기존주택 5년 소요), 사망자 10% 감소
    (신축주택) 전국적으로 설치 의무화 (ʼ12년 2월 시행)
    (기존주택) 5년 유예(ʼ17년 2월 시행)
  • 일본

    ʼ04년(제도마련) 화재사망자 1,038명→ ʼ15년 914명으로 11년간 12%(124명) 감소
    ʼ04년 기준마련 → ʼ15년 81% 달성(11년 소요), 사망자 12% 감소
    (신축주택) 전국적으로 설치 의무화 (ʼ04년 6월 공포→ʼ06년 6월 시행)
    (기존주택) 법 부칙에 경과조치를 두어 시·정·촌 조례로 정하게 함
비교결과 주택용화재경보기 보급으로 사망자 저감효과가 있음(정책홍보와 소방안전교육 등 시너지 효과)

주택화재 원인별 발생 현황(10년간)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원인별 발생 현황 부주의 54% 전기적 요인 23%  미상 11% 기계적요인 5% 방화,의심 4%  가스누출(폭발) 1% 기타 2%
최근 10년간 원인별(부주의, 전기적 요인, 미상, 기계적요인, 방화.의심, 가스누출-폭발, 기타) 주택화재 발생현황 건수
합계 부주의 전기적 요인 미상 기계적 요인 방화·의심 가스누출(폭발) 기타
76,472 41,415 17,250 8,337 4,179 2,938 474 1,879
  • 최근 10년간 발생한 주택화재는 76,472건으로 원인별로 부주의(54.2%)에 의한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 (부주의) 음식물 조리, 담배꽁초, 쓰레기소각, 불씨‧불꽃‧화원 방치 등
  • 다음으로 전기적요인(22.6%), 미상(10.9%), 기계적요인(5.5%), 방화‧의심(3.8%) 순으로 발생

주택화재 원인별 사망자 발생 현황(10년간)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원인별 사망자 발생 현황 미상 38% 부주의 23% 방화,의심 18% 전기적요인 16% 기계적요인 2% 가스누출(폭발)2% 기타 1%
최근 10년간 원인별(부주의, 전기적 요인, 미상, 기계적요인, 방화.의심, 가스누출-폭발, 기타) 주택화재 사망자 발생현황
합계 미상 부주의 방화·의심 전기적요인 기계적요인 가스누출(폭발) 기타
1,454 557 330 256 241 27 25 18
  •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사망자는 총 1,454명이며 발생 원인별로는 미상이 557명(38.3%)으로 가장 많음※ (미상) 현장이 훼손되거나 전소되는 등 화재 원인을 찾을 수 없음
  • 다음으로 부주의 330명(22.7%), 방화‧의심 256명(17.6%), 전기적 요인 241명(16.6%) 순으로 발생

주택화재 연령별 사망자 발생 현황(10년간)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연령별 사망자 발생현황(건) - 미상 2%, 0~7세 1%, 8~19세 3%, 20~39세 23%, 40~49세 15%, 50~59세 20%, 60~69세 15%, 70세이상 21%
최근 10년간 연령별(0~7세, 8~19세 2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미상) 주택화재 사망자 발생현황
합계 0~7세 8~19세 2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이상 미상
1,454 28 44 127 167 312 250 517 9
  •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사망자는 총 1,454명으로 화재 사망자 연령대 별로는 70세 이상이 571명(35.6%)으로 가장 많음
  • 다음으로 50~59세 321명(21.5%), 60~69세 250명(17.2%), 40~49세 167명(11.5%) 순으로 발생

주택화재 시간대별 사망자 발생 현황(10년간)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시간대별 사망자 발생현황(건) - 18~24시 화재건수 27.3% 사망자수 26.2%, 12~18시 화재건수 33.6% 사망자수 20.3%, 06시~12시 화재건수 23.6% 사망자수 20.6%, 00~06시 화재건수 15.5% 사망자수 32.9%
최근 10년간 시간대별(0~6시, 6~12시, 12~18시, 18~24시) 주택화재 및 사망자 발생현황
합계 0~6시 6~12시 12~18시 18~24시
화재건수 사망자 화재건수 사망자 화재건수 사망자 화재건수 사망자 화재건수 사망자
76,467 1,454 11,855 479 18,080 299 25,683 295 20,849 381
  • 최근 10년간 주택화재 시간대별 사망자는 0~6시에 479명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 발생※ 화재 발생율은 심야 취약시간인 0~6시(15.5%)의 경우 낮 시간대인 12~18시(33.6%)의 절반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발생 비율은 32.9%(479)로 낮 시간대보다 17.4%p(184명)가 더 높음.
  • 다음으로 18시~24시 381명, 6~12시 299명, 12~18시 295명 순으로 발생
  • 콘텐츠 담당부서
    생활안전과
  • 전화
    044-205-7662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