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lass="0"
style="line-height: 198.0%;margin-left: 32.0px;text-indent: -24.6pt;margin-top: 6.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소방청</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3.0pt;">청장 신열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2023</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년까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15</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인승 중형 구급차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104</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대를 전국에 확대 배치하기로 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 2026</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년까지 전국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226</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개 소방서에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1</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대 이상 배치해 선진국 수준의 전문적인 구급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8.0%;margin-left: 46.0px;text-indent: -34.7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2</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인승 소형 구급차</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1,568</span><span
style="font-size: 13.0pt;">대 중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1,543</span><span
style="font-size: 13.0pt;">대</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 98.4%)</span><span
style="font-size: 15.0pt;">는 환자실이 좁고 구급대원 의자가 환자 침대 뒤쪽이 아닌 대각선에 배치돼 기도확보 등 중환자를 위한 전문 응급처치에 불편함이 있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따라서</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구급대원이 환자 머리 쪽에 위치해 전문기도확보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급차의 크기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1.0px;text-indent: -30.8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2.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이 지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15</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인승 중형 구급차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2</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인승 소형 구급차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0</span><span
style="font-size: 15.0pt;">개 시</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도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9</span><span
style="font-size: 15.0pt;">개 소방서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현행 소형 구급차는 기동성이 좋으나 응급환자를 처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 중증 응급환자 처치에 유용한 중형 구급차의 확대 보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30.0px;text-indent: -22.9pt;margin-top: 12.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이에 소방청은 중형 구급차를 전국으로 확대 배치해 중환자용 구급차로 활용하는 한편 음압구급차</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임산부용 구급차 등으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해 그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8.0px;text-indent: -36.0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26</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까지 전국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26</span><span
style="font-size: 15.0pt;">개 모든 소방서에 음압 중형 구급차 한대 이상 배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일단 예산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19</span><span
style="font-size: 15.0pt;">억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6</span><span
style="font-size: 15.0pt;">천만 원을 복권기금과 국민참여예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으로 확보하였고</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내년도에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55</span><span
style="font-size: 15.0pt;">대</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내후년도에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49</span><span
style="font-size: 15.0pt;">대를 전국 소방관서에 배치할 계획이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8.0px;text-indent: -36.3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2.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2.0pt;">국민이 예산 사업 제안</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2.0pt;">심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2.0pt;">우선순위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제도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2017</span><span
style="font-size: 12.0pt;">년 시범 도입 후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2018</span><span
style="font-size: 12.0pt;">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음</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4.0px;text-indent: -33.0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장기적으로는 중형구급차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19</span><span
style="font-size: 15.0pt;">구급차의 기본 차량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31.0px;text-indent: -23.3pt;margin-top: 12.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중형 구급차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5</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인승 승합차를 기반으로 넓어진 공간에 다양한 전문 장비의 적재가 가능해 심전도 측정 등 확대된 전문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특별구급대의 기본 구급차로 사용되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임산부용 구급차로도 활용할 계획이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7.0px;text-indent: -35.6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특별교육을 이수한 </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span><span
style="font-size: 15.0pt;">급 응급구조사와 간호사들이 탑승하는 특별구급대는 </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2</span><span
style="font-size: 15.0pt;">유도 심전도</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측정</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임산부 탯줄처치</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심폐소생술시 에피네프린 투여</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중증외상 진통제 투여</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아나필락시스 에피네프린 투여의 </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5</span><span
style="font-size: 15.0pt;">가지 응급처치를 추</span><span
style="letter-spacing: -0.4pt;font-size: 15.0pt;">가로 수행할 수 있는데</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4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4pt;font-size: 15.0pt;">이러한 응급처치를 원활하게 수행하기</span><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위해서는 환자실이 넓은 중형 구급차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2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38.0px;text-indent: -28.9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7pt;font-size: 12.0pt;">심장의 전기적 흐름을 그림으로 표현해</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7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7pt;font-size: 12.0pt;">심근경색 등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장치</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31.0px;text-indent: -23.3pt;margin-top: 12.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더 커진 구급차는 또한 음압구급차로도 활용된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4.0px;text-indent: -33.0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최근 코로나</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9 </span><span
style="font-size: 15.0pt;">팬데믹으로 음압구급차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기존 음압구급차는 음압장치가 상시 가동돼 탑승자의 어지럼증과 두통을 유발해 개선이 시급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44.0px;text-indent: -33.0pt;margin-top: 4.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에서 한국형으로 새롭게 개발한 규격의 음압구급차는 음압 </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ON/OFF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장치와 산소농도감시장치가 설치된다</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신형 음압구급차는 산소농도 저하시 자동으로 환기되는 시스템이 탑재돼 기존 음압구급차의 어지럼증과 두통 유발 문제를 해소하였으며</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비</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非</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전염성 환자의 경우는 음압장치를 꺼 일반구급차로도 사용이 가능해 그 활용도를 크게 높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 HCI Poppy;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33.0px;text-indent: -25.0pt;margin-top: 12.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새 중형 구급차는 구급차가 두 대 이상 배치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19</span><span
style="font-size: 15.0pt;">안전센터에 우선 배치하고</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장기적으로는 이 중형 구급차를 기본 구급차로 확대 배치하되</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좁은 골목길이 많은 지역에는 소형 구급차를 두도록 해 상황과 특성에 따라 적정한 구급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div>
<p class="0"
style="line-height: 188.0%;margin-left: 33.0px;text-indent: -24.9pt;margin-top: 12.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 배덕곤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19</span><span
style="font-size: 15.0pt;">구조구급국장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더 커진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5</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인승 중형 구급차를 활용하면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구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중형 구급차를 전국으로 확대 배치해 국민이 필요한 순간에 꼭 필요한 구급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고 말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p>
□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2023년까지 15인승 중형 구급차 104대를 전국에 확대 배치하기로 했다. 2026년까지 전국 226개 소방서에 1대 이상 배치해 선진국 수준의 전문적인 구급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12인승 소형 구급차(1,568대 중 1,543대, 98.4%)는 환자실이 좁고 구급대원 의자가 환자 침대 뒤쪽이 아닌 대각선에 배치돼 기도확보 등 중환자를 위한 전문 응급처치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구급대원이 환자 머리 쪽에 위치해 전문기도확보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급차의 크기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 소방청이 지난 1월, 15인승 중형 구급차와 12인승 소형 구급차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10개 시·도 29개 소방서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현행 소형 구급차는 기동성이 좋으나 응급환자를 처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 중증 응급환자 처치에 유용한 중형 구급차의 확대 보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 이에 소방청은 중형 구급차를 전국으로 확대 배치해 중환자용 구급차로 활용하는 한편 음압구급차, 임산부용 구급차 등으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해 그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 소방청은 2026년까지 전국 226개 모든 소방서에 음압 중형 구급차 한대 이상 배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일단 예산 119억 6천만 원을 복권기금과 국민참여예산*으로 확보하였고, 내년도에 55대, 내후년도에 49대를 전국 소방관서에 배치할 계획이다.
* 국민이 예산 사업 제안, 심사, 우선순위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제도로 2017년 시범 도입 후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장기적으로는 중형구급차를 119구급차의 기본 차량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 중형 구급차는 15인승 승합차를 기반으로 넓어진 공간에 다양한 전문 장비의 적재가 가능해 심전도 측정 등 확대된 전문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특별구급대의 기본 구급차로 사용되며, 임산부용 구급차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 특별교육을 이수한 1급 응급구조사와 간호사들이 탑승하는 특별구급대는 12유도 심전도* 측정, 임산부 탯줄처치, 심폐소생술시 에피네프린 투여, 중증외상 진통제 투여, 아나필락시스 에피네프린 투여의 5가지 응급처치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응급처치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실이 넓은 중형 구급차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심장의 전기적 흐름을 그림으로 표현해, 심근경색 등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장치
□ 더 커진 구급차는 또한 음압구급차로도 활용된다.
○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음압구급차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음압구급차는 음압장치가 상시 가동돼 탑승자의 어지럼증과 두통을 유발해 개선이 시급했다.
○ 소방청에서 한국형으로 새롭게 개발한 규격의 음압구급차는 음압 ON/OFF 장치와 산소농도감시장치가 설치된다. 신형 음압구급차는 산소농도 저하시 자동으로 환기되는 시스템이 탑재돼 기존 음압구급차의 어지럼증과 두통 유발 문제를 해소하였으며, 비(非)전염성 환자의 경우는 음압장치를 꺼 일반구급차로도 사용이 가능해 그 활용도를 크게 높였다.
□ 새 중형 구급차는 구급차가 두 대 이상 배치된 119안전센터에 우선 배치하고, 장기적으로는 이 중형 구급차를 기본 구급차로 확대 배치하되, 좁은 골목길이 많은 지역에는 소형 구급차를 두도록 해 상황과 특성에 따라 적정한 구급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소방청 배덕곤 119구조구급국장은 “더 커진 15인승 중형 구급차를 활용하면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구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중형 구급차를 전국으로 확대 배치해 국민이 필요한 순간에 꼭 필요한 구급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미리보기가 안될 시 팝업차단 해제 후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