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23.3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1.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span><span
style="font-size: 12.0pt;">청장 신열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은 최근 지속되는 폭염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자주 에어컨을 사용하게 되는 만큼</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화재예방을 위해 에어컨 점검 및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22.7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0.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지난해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30</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일 세종시 새롬동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에어컨 화재로 주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00</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여명이 대피하고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span><span
style="font-size: 15.0pt;">천여만원의 재산피해가 있었으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올해도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2</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일 서울시 강남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송파구에서 실외기 화재가 발생하는 등 에어컨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31.1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1.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어컨 화재는 주로 실외기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발견이나 대처가 늦어질 수 있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다수가 밀집된 공동주택 등의 장소에서 화재 시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23.1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0.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에서 최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3</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18~2020</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간 에어컨 화재 발생 건수를 분석한 결과</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총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06</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의 에어컨 화재 중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8</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이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69</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38%)</span><span
style="font-size: 15.0pt;">으로 가장 많았으며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73</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9</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58</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6</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57</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 순으로 나타났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38.0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50.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또한 화재 발생 원인은 과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과부하에 따른 전선 단락 등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6%(538</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로 대다수를 차지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div></span>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23.5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1.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올해도 무더운 여름이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화재 예방을 위한 점검 등 안전관리를 철저히해야 한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30.2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0.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어컨 점검을 통해 전선이 낡거나 벗겨진 경우는 전문가를 통해 전선을 교체하고</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실외기 소음과 진동이 평소보다 크다면 즉시 제조업체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30.5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0.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또한 실외기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 벽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0cm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하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실외기에 쌓인 먼지를 닦고 주변에 낙엽 같이 탈 수 있는 물질들은 치워야 한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30.5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0.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특히 실외기실이 별도로 설치된 경우는 환풍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루버창 등</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를 개방한 상태로 가동해야 화재를 예방하고 전기도 절약할 수 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23.8pt;margin-top: 13.0px;margin-left: 31.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 성호선 화재대응조사과장은</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올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부터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으로</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어컨 사용 시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실외기 주변을 청소하는 등 화재예방 수칙을 준수해 줄 것</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을 당부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190.0%;text-indent: -31.1pt;margin-top: 13.0px;margin-left: 41.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한편 올해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7</span><span
style="font-size: 15.0pt;">월</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7.20.</span><span
style="font-size: 12.0pt;">기준</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2.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만 온열질환자 구급출동이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25</span><span
style="font-size: 15.0pt;">건이 있었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3</span><span
style="font-size: 15.0pt;">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올해 특히 기온상승으로 인한 에어컨 사용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div>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div>
□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최근 지속되는 폭염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자주 에어컨을 사용하게 되는 만큼, 화재예방을 위해 에어컨 점검 및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 지난해 7월 30일 세종시 새롬동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에어컨 화재로 주민 100여명이 대피하고 2천여만원의 재산피해가 있었으며, 올해도 7월 22일 서울시 강남구, 송파구에서 실외기 화재가 발생하는 등 에어컨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에어컨 화재는 주로 실외기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발견이나 대처가 늦어질 수 있어, 다수가 밀집된 공동주택 등의 장소에서 화재 시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 소방청에서 최근 3년(2018~2020년)간 에어컨 화재 발생 건수를 분석한 결과, 총 706건의 에어컨 화재 중 8월이 269건(38%)으로 가장 많았으며 7월 173건, 9월 58건, 6월 57건 순으로 나타났다.
○ 또한 화재 발생 원인은 과열, 과부하에 따른 전선 단락 등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가 76%(538건)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 올해도 무더운 여름이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화재 예방을 위한 점검 등 안전관리를 철저히해야 한다.
○ 에어컨 점검을 통해 전선이 낡거나 벗겨진 경우는 전문가를 통해 전선을 교체하고, 실외기 소음과 진동이 평소보다 크다면 즉시 제조업체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
○ 또한 실외기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 벽과 10cm 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하며, 실외기에 쌓인 먼지를 닦고 주변에 낙엽 같이 탈 수 있는 물질들은 치워야 한다.
○ 특히 실외기실이 별도로 설치된 경우는 환풍구(루버창 등)를 개방한 상태로 가동해야 화재를 예방하고 전기도 절약할 수 있다.
□ 소방청 성호선 화재대응조사과장은“올 7월부터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으로, 에어컨 사용 시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실외기 주변을 청소하는 등 화재예방 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 한편 올해 7월(7.20.기준)에만 온열질환자 구급출동이 225건이 있었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올해 특히 기온상승으로 인한 에어컨 사용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 미리보기가 안될 시 팝업차단 해제 후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