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119구급대원 연구논문, 세계적 의학 학술지 등재

작성일
2021-04-07
조회수
7030
작성자
김진우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23.9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1.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소방청</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3.0pt;">청장 신열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은 소속 구급대원</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3.0pt;">소방장 이승효</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이 제</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span><span style="font-size: 15.0pt;">저자로 참여한 연구논문이 응급의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AJEM</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span><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최신호</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3</span><span style="font-size: 13.0pt;">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15</span><span style="font-size: 13.0pt;">일</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23.3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1.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3.0pt;">응급의학분야 최상위 학술지로 국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CIE(</span><span style="font-size: 13.0pt;">과학기술인용색인</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3.0pt;">에 속한다</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30.2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0.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등재 논문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요양원 심정지 환자의 목격자 유형 및 심폐소생술 비율</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Type of bystander and ra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nursing home patients suffer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 관한 연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로 요양원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다루고 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22.7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0.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이번 연구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13</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부터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18</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까지 요양원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8</span><span style="font-size: 15.0pt;">천</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81</span><span style="font-size: 15.0pt;">명을 대상으로 발견자 유형에 따른 목격자의 심폐소생술 시행률과 심정지 환자의 생존 결과를 조사하였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31.1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1.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연구 결과 요양원에서 발생하는 심정지 환자는 의료진보다 비의료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3.0pt;">직원 등</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3.0pt;">)</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에 의해 목격되는 경우가 많았다</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31.1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1.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이에 논문에서는 요양원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자동심장충격기 사용률을 높이고 비의료진에 대한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 필요성을 제시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24.6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2.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연구를 수행한 이승효 소방장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08</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 소방공무원으로 임용 후 현장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다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18</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 소방청 중앙소방학교에서 구급교수로 근무하는 등 지금까지 약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10</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 넘게 구급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워왔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30.3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40.0px;"><span style="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2020</span><span style="font-size: 15.0pt;">년부터는 소방청과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인사교류로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면서 구급서비스 분야 연구사업에 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span></p> <p class="0" style="line-height: 200.0%;text-indent: -23.5pt;margin-top: 13.0px;margin-bottom: 1.0px;margin-left: 31.0px;"><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span style="font-size: 15.0pt;">이 소방장은 구급대원의 능력 향상을 위해 구급활동 빅데이터 분석연구로 구급정책을 개발하는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15.0pt;">. </span></p> <p class="0" style="">   </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div>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소속 구급대원(소방장 이승효)이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논문이 응급의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AJEM(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최신호(315)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응급의학분야 최상위 학술지로 국제 SCIE(과학기술인용색인)에 속한다

등재 논문은 요양원 심정지 환자의 목격자 유형 및 심폐소생술 비율(Type of bystander and ra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nursing home patients suffer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에 관한 연구로 요양원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다루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요양원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 8281명을 대상으로 발견자 유형에 따른 목격자의 심폐소생술 시행률과 심정지 환자의 생존 결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원에서 발생하는 심정지 환자는 의료진보다 비의료진(직원 등)에 의해 목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논문에서는 요양원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자동심장충격기 사용률을 높이고 비의료진에 대한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 필요성을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이승효 소방장은 2008년 소방공무원으로 임용 후 현장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다 2018년 소방청 중앙소방학교에서 구급교수로 근무하는 등 지금까지 약 10년 넘게 구급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워왔다.

2020년부터는 소방청과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인사교류로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면서 구급서비스 분야 연구사업에 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소방장은 구급대원의 능력 향상을 위해 구급활동 빅데이터 분석연구로 구급정책을 개발하는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첨부파일

※ 미리보기가 안될 시 팝업차단 해제 후 이용 바랍니다.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
  • 평가 의견

    ( 현재 페이지에 대한 평가 의견을 올려주세요.
    의견에 대한 답변은 올리지 않으며, 질의 등은 국민신문고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