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산재 사망사고 총 137명으로 1명 감소…건설업은 7명 증가

작성일
2025-05-21
조회수
466
작성자
admin
1분기 산재 사망사고 총 137명으로 1명 감소…건설업은 7명 증가
기장군 리조트 공사장 화재 등 건설현장 대형사고 잇달아
총사망자 감소에도 50인 미만 사업장은 9% 증가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올해 1분기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작년 1분기보다 줄었으나 건설업과 상시 근로자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선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21일 발표한 1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1∼3월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는 총 137명(잠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8명)보다 1명(0.7%) 줄었다. 사망 사고 건수도 같은 기간 136건에서 129건으로 7건(5.1%)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9명으로 지난해보다 2명, 기타업종(건설업과 제조업 이외 업종)이 37명으로 6명 각각 감소했으나 건설업은 71명으로 7명 증가했다.
노동부는 건설업은 부산 기장군 건설 현장 화재와 서울세종고속도로 교량 붕괴 등 대형 사고 영향으로 사고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올해 2월 14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나 6명이 숨졌으며 같은 달 25일 경기 안성시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 교량상판 구조물 붕괴 사고로도 4명이 목숨을 잃었다.
노동부는 건설업 중대재해를 감소세로 전환하기 위해 상반기에 건설 현장 감독·점검을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건설사 간담회 등을 통해 안전 투자와 자체 안전 점검을 강화해 재해 예방 활동에 집중하고, 위험요인을 신속하게 개선하는 등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규모별로는 상시 근로자 50인(건설업종은 공사금액 50억원) 미만 사업장에서 올해 1분기 사망자가 83명으로 지난해보다 5명(6.4%), 사망 사고 건수는 83건으로 7건(9.2%) 각각 늘었다.
반면 50인 이상 대형 사업장과 대규모 공사 현장에선 올해 1분기 사망자가 54명으로 지난해보다 6명(10.0%), 사망 사고 건수는 46건으로 14건(23.3%) 각각 줄었다.
사망 사고 유형별로는 떨어짐이 62명, 끼임 11명, 물체에 맞음 16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명, 7명, 5명 감소했다.
화재·폭발은 10명, 무너짐은 11명으로 6명씩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별로는 경기(31명), 경남(17명), 서울(15명), 경북(12명), 전남(12명), 부산(11명), 전북(9명), 충남(6명), 충북(6명) 등 순으로 많았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
  • 평가 의견

    ( 현재 페이지에 대한 평가 의견을 올려주세요.
    의견에 대한 답변은 올리지 않으며, 질의 등은 국민신문고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