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총리, 이태원참사 추모위서 "안전·책임·공감의 공동체 돼야"(종합)

작성일
2025-08-04
조회수
139
작성자
admin
金총리, 이태원참사 추모위서 "안전·책임·공감의 공동체 돼야"(종합)
위원들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필요…주민·상인과도 소통해야" 제안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는 4일 "정부는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한, 책임지는, 공감하는 공동체로 (한국 사회가) 가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 회의'에서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김 총리는 "정부가 참사 이후 밀집사고 예방 대책이나 인파 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 왔다"면서도 "그 제도 정비만으로 그날의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는 차원에서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위원님들이 (일을) 맡으신 것이라는 생각"이라며 "위원회가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포함한 참사 희생자 유족들을 위로한 점을 거론하면서 "굉장히 큰 의미가 있었다"고 돌아보기도 했다.
이번 추모위 구성은 지난 1월 '이태원 특별법 시행령'의 국무회의 의결에 따른 것이다.
추모위는 김 총리를 위원장으로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정부위원을 맡는다.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상임활동가와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공감 변호사 등 유가족 단체 추천을 받은 6명이 민간위원에 위촉됐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세칙을 정하고 추모공원 및 기념관 등 추모시설 조성, 추모 행사, 추모재단 설립 등 사업 전반에 관한 계획을 논의했다.
위원들은 회의에서 "현재 계획 중인 추모사업은 물리적 공간 조성에 치중되어 있어 기록물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을 통해 기억의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참사 현장에서 살아가고 있는 지역주민과 상인도 피해자의 범위에 포함되므로 이분들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조를 통해 추모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총리실은 전했다.
정부는 관계부처 소속 공무원 및 전문가 등으로 위원회를 지원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유가족 및 이해관계자 등과 의견수렴, 국민 공감대 형성 등 적극적 소통도 병행할 방침이다.
hapyr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
  • 평가 의견

    ( 현재 페이지에 대한 평가 의견을 올려주세요.
    의견에 대한 답변은 올리지 않으며, 질의 등은 국민신문고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